DNS 란 ?
지금은 EC2의 퍼블릭 아이피를 이용하여 터미널 외부에서 스프링과 통신하고 있다.
하지만 외부에 퍼블릭 아이피를 공개하는 것은 위험하고, 숫자로 된 아이피를 기억하기 어렵다.
따라서 아이피를 우리가 보기 쉬운 문자 형태인 도메인으로 바꾸는 것을 선호한다.
이때 아이피를 도메인으로 바꿔 주고, 도메인을 다시 아이피로 변환하는 시스템을 DNS라고 한다.
1. 도메인 발급받기 : 가비아에서 도메인 구매
웹을 넘어 클라우드로. 가비아
그룹웨어부터 멀티클라우드까지 하나의 클라우드 허브
www.gabia.com
.shop, .store 은 500원에
.site 는 1900원에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무료로 도메인을 발급해주는 사이트들도 있으니 편한 방법으로 도메인을 하나 발급받는다
2. 구매한 도메인과 EC2 탄력적 IP 연결 (AWS Route 53 설정)
1) 호스팅 영역 생성
가비아에서 구매한 도메인을 도메인 이름에 입력 -> 호스팅 영역 생성 클릭 !
2) 레코드 생성
값에 서버가 배포된 인스턴스의 탄력적 IP를 입력 - 레코드 생성 클릭
www 까지 레코드를 2개 생성해준다.
3) 가비아에서 네임서버 설정
설정 클릭
네임서버의 1차 ~ 4차에 Route 53 호스팅 영역의 NS 값 4개를 넣어준다. (기존에 있던 값은 삭제)
3. 확인
http://openthedoor.site:8080/cafe/all
잘 되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다 !!!!!! ㅎㅎㅎ
이렇게 DNS 설정까지 완료했다.
하지만 주소쪽에 자세히 보면
HTTPS이 사용되지 않았다는 경고 문구가 뜬다.
다음번에는 HTTPS 를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
'escape-room'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validDefinitionException - No serializer found for class 에러 (0) | 2023.05.23 |
---|---|
[Ubuntu] Nginx, Let's Encrypt를 사용하여 HTTPS 설정하기 (+에러 해결) (0) | 2023.05.19 |
[QueryDSL/JPA] 동적 쿼리 작성하기 (Join 사용 X) (0) | 2023.05.19 |
[Spring] Required request parameter '인자' for method parameter type String is not present 에러 (0) | 2023.05.19 |
[IntelliJ] 자주 쓰는 IntelliJ 단축키 (0) | 2023.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