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너 객체 : 이벤트(Event)라는 특정한 데이터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실행됨 장점 : 리스너를 이용하면 어떤 정보가 발생(이벤트(event))했을 때 미리 약속해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도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 ! (스프링 MVC가 리스너를 통해서 동작함) 옵저버(observer) 패턴 : 특정한 변화를 구독(subscribe)하는 객체들을 보관하고 있다가 변화가 발생(발행(publish))하면 구독 객체들을 실행하는 방식 ex. 재난 감시 시스템 1. 이벤트(Event) : (지진이 발생하여) 지진 감지 센서가 데이터를 발생 -> 데이터가 발생되면 해당 이벤트 관제 센터에 통보 -> 관제 센터에서는 산하 기관들에 '지진이 발생했음'을 알려줌 2. 마지막 산..